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

갱년기 증후군은 왜 나타나고 어떤 것이 도움이 될까? 1. 여성 갱년기 갱년기는 여성의 폐경 전후의 기간으로 생식능력이 감소하여 상실되는 기간입니다. 여성의 난소는 약 35세 이후부터 기능이 퇴화되기 시작하는데, 점자척인 기능 소실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이 부족하게 되어 발생하게 되는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갱년기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여성의 폐경 시점은 개인차가 있으나, 평균 50세 전후에 진행되며, 보통 48~52세에 폐경이 나타납니다. 폐경 전 후 호르몬의 변화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폐경과 관련된 여러 가지 증상이 유발 됩니다. 폐경이 일어나기 2~3년 전부터 난소의 난포가 고갈되어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되며 시상하부의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GnRH)의 분비가 증가하면서, 월경기간이 불규칙해지거나 월경양이 증가 혹은 감소하.. 2023. 2. 20.
약국변비약: 팽창성(차전자피), 삼투성(마그네슘, 락툴로오스), 자극성(비사코딜) 하제 1. 팽창성 하제: 차전자피(Psyllium husk) 팽창성 하제는 소장에서 흡수되거나 분해되지 않고 대장에서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대변량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부피형성 하제라고도 불립니다. 팽창성 하제는 변을 부드럽게 하고 변의를 느끼도록 하여 대변 배출을 용이하게 합니다. 생리현상과 가장 유사하게 배변을 유도하는 완하제로 다수의 변비 환자에게 ‘일차 치료제’로 고려되고 있습니다. 특히 식이섬유 섭취가 부족한 변비 환자, 고령자,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해 발생한 변비에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팽창성 하제에는 차전자피, 폴리카보필(polycarbophil), 메틸셀룰로오스(methylcellulose)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일반의약품으로는 차전자피가 사용되며. 과립제와 산제가 있습니다. 차전자피는 질경이.. 2023. 2. 14.
흉터연고 12종 비교분석!!(노스카나, 콘투락투벡스, 더마틱스 등) 안녕하세요~ 약 선택을 돕기위해 정보를 제공하는 약생사입니다!! 오늘은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흉터 연고의 종류와 역할 그리고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친 상처, 수술 혹은 시술 부위, 여드름 부위가 아물면서 흉터가 생기지 않을까 걱정스러운 마음 다들 한 번 씩은 겪어 보셨을 텐데요~ 딱히 정보가 없기도 하고 이 정도만 해도 괜찮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마데카솔만 열심히 발라보신 분들도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마데카솔에도 ‘센텔라아시아티카’라는 재생성분이 들어있어 도움이 되긴 하지만 보통 약국에서 구매해 사용하는 마데카솔에는 항생제도 같이 들어있기 때문에 상처가 아문 뒤 흉터 케어를 위해서는 전문 흉터 연고로 관리를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른 부위의 상처보다도 얼굴의 상처가 흉터로 남는.. 2023. 2. 13.
약국변비약: 연화제(도큐세이트), 관장약,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변비는 소화관의 운동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수분 조절에 문제를 일으키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발됩니다. 단단한 변이 장내에 오랫동안 머무르면서 이차적으로 복통, 식욕부진 등의 위장관 증상이나 항문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기능성 변비는 식이요법과 생활습관의 교정으로 대부분 개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심각하거나 비약물 요법으로도 개선되지 않을 경우 약물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일반의약품으로 팽윤성 하제(bulk laxatives), 삼투성 하제(osmotic laxatives), 자극성 하제(stimulant laxatives), 대변연화제(tool softeners) 등이 변비와 관련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외에도 장내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2023.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