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구건조증
안구건조증은 흔히 접할 수 있는 안과 질환에 해당하며 눈물의 기능 이상은 14~34%의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최근 사회의 고령화와 함께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의 사용, 라식 수술과 폐경 후 호르몬 치료 등이 증가하면서 안구건조증의 발병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안구건조증은 다인성 질환으로서 눈물의 생성이 부족하거나 눈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더라도 비정상적인 빠른 증발로 인해 안구 표면이 건조해져 불편감을 유발하고 시력 장애와 눈물막의 불안정성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2. 눈물막의 구성
눈물은 눈물샘에서 생성된 후 눈물샘 배출관을 통해 안구 전방으로 배출되며. 눈물의 일부는 눈 표면에서 증발됩니다. 눈물은 눈물점을 통과하여 눈물소관, 코눈물관을 거쳐 비공을 통해 체외로 배출됩니다. 눈물막은 안구 표면(각막과 결막)을 덮고 있으며 총 3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장아래층은 각결막 상피 표면을 덮고 있는 점액질층이며 그 위에 수성층이 존재하고, 맨 바깥쪽에 존재하는 지질층은 수성층을 덮음으로써 눈물의 증발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눈물막이 안정성을 유지하여야 눈물막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눈물의 항상성 상실은 안구건조중의 주된 원인이 됩니다.
3. 원인
안구건조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직업적 요인이나 전신 약물 치료, 눈꺼풀과 관련된 해부학적 요인에 의하여 악화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요인으로는 콘택트렌즈의 착용, 알레르기, 장시간 시각작업, 환경의 변화, 컴퓨터나 현미경의 사용, 라식 수술, 미용 수술, 눈 깜박임 이상 등이 있으며. 항히스타민제, 항경련제, 항우울제 등과 같은 약물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눈물막 파괴의 가장 흔한 원인중 하나는 점안액의 보존제로 첨가된 벤잘코늄(benzalkonium)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눈물샘과 침샘에 만성적으로 림프구가 침윤하여 조직 손상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인 쇼그렌 증후군(Sjögren's syndrome)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병인에 따라 수성눈물 생성 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증과 눈물막 증발 증가로 인한 안구건조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두 가지에 모두 해당하는 혼합형도 존재합니다. 쇼그렌 증후군이나 노화 등의 비쇼그렌증후군은 눈물샘의 기능 저하로 수성눈물 생성이 부족하여 안구전조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마이봄샘의 기능 장애, 눈꺼풀 형태의 장애, 눈 깜빡임 횟수의 감소 등의 내부 요인과 안구 표면 질환, 콘택트렌즈 착용 등의 외부적 요인들은 공통적으로 눈물막의 증발을 증가시킴으로써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의 위험인자로는 고령, 여성, 눈 수술의 과거력, 갑상선질환, 고학력인 경우 등이 제시된 바 있으며, 비타민 A, 오메가-3 지방산의 부족 등과 같은 영양소 결핍도 관련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마이봄샘과 눈물샘에는 안드로겐 결합 수용체가 존재하는데 안드로겐은 영양을 공급하고 항염증 활성을 나타냅니다. 노화, 임신, 수유, 호르몬 치료, 폐경 등은 안드로겐 호르몬의 부족을 유발하므로 눈물샘에 영양 공급이 결핍되면서 안구건조증 발생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4. 증상
눈물은 일정량이 분비되어 윤활작용을 하는 기저 눈물과 외부 자극에 의하여 분비되는 반사성 눈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눈물의 수성층이 부족한 환자들은 기저 눈물 부족으로 인한 자극 때문에 반사성 눈물을 흘리는 안구건조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눈물의 증발로 유발된 안구건조증은 대개 눈꺼풀 테의 이상이나 눈꺼풀의 염증 등으로 인해 눈물막이 불안정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수성 눈물의 결핍으로 인한 건성안은 오후가 되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마이봄샘 질환으로 인한 건성안은 아침에 더욱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안구건조증의 증상은 건성안으로 인한 눈충혈 보다 자극감, 이물감. 시야 흐림, 눈의 피로감, 때때로 가려움증 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으며 점차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눈부심과 눈꺼풀 떨림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이 더 악화되면 안구 표면에 각질화가 나타나고 궤양이나 혈관이 생성되며 각막 흉터가 남계 되어 심각한 시력 상실 또는 시야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안구건조증 환자는 정산인 사람과 비교하였을 때 시각 기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공간 대조 감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며 시력의 질에 영향을 주는 고위수차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습니다.
'○ 약 선택 돕기(간단한 설명, 비교, 분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염, 원인과 원인에 따른 종류 총정리! (0) | 2023.02.09 |
---|---|
안구건조증, 치료 목표와 사용 가능한 일반의약품 (0) | 2023.02.08 |
결막염, 원인과 증상,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안약 성분 (0) | 2023.02.08 |
다래끼,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0) | 2023.02.08 |
여드름,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약 성분에 대하여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