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래끼, 안검염
눈은 일상생활 중에서 다양한 외부 자극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부위이며 외부 자극에는 크게 물리적 요인, 광자극 요인. 화학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있습니다. 눈을 비비거나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등의 물리적 자극은 각막과 결막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에서 유출되는 광자극은 안구의 피로와 건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눈 화장품 등의 화학제품이나 미세 먼지 등의 환경적 요인, 공기 중의 유해 물질도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외부 자극입니다. 이러한 외부 자극이나 미생물 감염은 눈에 불편감을 주거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검염(blepharitis)과 다래끼(hordeolum)는 눈꺼풀에 생기는 염증성 질환입니다. 안검염은 눈꺼풀의 가장자리에 있는 마이봄샘(meibomian gland)이라는 기름샘과 속눈썹이 있는 부분에 발생한 염증입니다. 다래끼는 눈꺼풀의 피지선이나 땀샘에 감염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원인 및 발생 위치에 따라 겉다래끼, 속다래끼(맥립종), 콩다래끼(산립종)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원인 및 증상
안검염은 마이봄샘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염증이 발생합니다. 안검염의 증상으로는 눈과 눈 주위에 붉은 테를 두른 듯한 충혈, 가려움증, 이물감, 속눈썹의 빠짐, 눈의 자극감 등이 있습니다. 궤양성 안검염의 경우 눈 주위에 농을 형성하여 작은 농포와 궤양이 생기기도 합니다.
다래끼 초기에는 부종과 통증이 나타나고 시간이 지나면 농양이 생기면서 피부로 배출되기도 합니다. 다래끼는 겉다래끼와 속다래끼, 콩다래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겉다래끼와 속다래끼는 주로 포도상구균의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겉다래끼는 짜이스샘(gland of Zeis)이나 몰샘(Moll‘s gand)의 급성 화농성 염증이고, 속다래끼는 마이봄샘에 발생한 급성 화농성 염증입니다. 속다래끼의 경우 결막에 노란 농양점이 관찰됩니다. 겉다래끼는 속눈썹을 중심으로 하여 염증이 발생하며 이 경우 속눈썹을 뽑으면 쉽게 고름이 배농되기도 합니다. 이와 달리 콩다래끼의 경우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마이봄샘의 입구가 막혀 정상적으로 분비물이 배출되지 못하고 눈꺼풀 판과 주위 연부 조직에 쌓이면서 엄증반응을 일으켜 발생합니다. 콩다래끼의 경우 눈꺼풀테 피부 아래에 결절이 관찰되지만 피부가 붉게 변하거나 통증 등의 급성 염증의 증상은 심하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3. 안검염, 다래끼에 사용되는 일반의약품
(1) 항균제: 설파메톡사졸
(2) 알란토인
겉다래끼는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거나 피부 쪽으로 배농이 되면서 치유 될 수 있으며 주로 더운 찜질과 항생제 눈연고로 치료합니다. 콩다래끼는 급성 염증기에 항생제나 소염제 안약을 투여할 수 있으나 완화 효과는 크지 않으며 만성화되어 낭종을 형성하면 절개하여 내부를 긁어내야합니다. 환부에 더운 찜질을 해주는 것이 다래끼의 신속한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검염의 경우에도 5~10분간 온찜질이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마이봄샘의 분비물을 짜내 듯이 눈꺼풀을 마사지하고 닦아내는 눈꺼풀 청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검염은 필요 시 처방을 통해 눈꺼풀의 상주균을 조절하는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등의 국소 항생제 연고제, 전신적 항생제(테트라사이클린, 독시사이클린 등), 스테로이드 점안제 등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안검염 및 다래끼에 사용하는 일반의약품으로는 세균 감염을 억제하는 항생제나 염증 반응을 저해하는 소염제 안약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안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합니다. 세균성 감염으로 인한 안검염이나 다래끼에 사용되는 일반의약품은 항균제인 설파메톡사졸을 함유하는 복합 점안제가 중심이 됩니다. 더불어 안점막의 회복을 돕는 알란토인이나 결막염에서 소개된 다양한 성분이 함유된 복합 점안제가 안검염 및 다래끼에 동반되는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1) 항균제 : 설파메톡사졸(Sulfamethoxazole)
설파메톡사졸 은 설폰아마이드계(sulfonamide) 항생제로 파라아미노벤조산(PARA)과 화학구조가 유사하므로 경쟁을 통해 세균의 생존에 필요한 디하이드로 폴산(DHF)의 합성을 억제합니다. 일반의약품으로는 다른 성분들과 함께 복합 점안제에 함유되어 제품에 따라 눈꺼풀의 짓무름, 결막 충혈이나 결막염(유행성결막염), 다래끼, 눈의 가려움 등에 사용됩니다.
셀파메톡사졸은 모든 세균에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바이러스성 감염증에는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중상 개선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2)알란토인(Allantoin)
알란토인은 동물 및 식물, 박테리아의 주요 중간 대사체로 요산으로부터 생성됩니다. 알란토인의 작용기전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으나 염증이 생긴 안점막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로 안검염(눈꺼풀의 짓무름), 결막 충혈 등에 사용되는 일반의약품 복합 점안제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 약 선택 돕기(간단한 설명, 비교, 분석)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구건조증, 원인과 증상에 대하여 (0) | 2023.02.08 |
---|---|
결막염, 원인과 증상,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안약 성분 (0) | 2023.02.08 |
여드름,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약 성분에 대하여 (0) | 2023.02.08 |
여드름, 원인과 증상에 따라 어떤 성분의 약을 사용해야할까? (0) | 2023.02.07 |
탈모, 약국에서 구매 가능한 약(일반의약품) (0) | 2023.02.07 |
댓글